저프전에 왜 토스가 상성상 좋지 않을까?
스타 저그 vs 프로토스 전은 상성상 토스가 저그에 비해 많이 불리합니다. 게임을 하다 보면 상성 종족을 만나게 되는데 테란 vs 저그나 테란 vs 토스의 경기보다 상성이 더 안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저프전에서 토스는 후반으로 갈수록 게임이 힘들어지고 이기기도 어렵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프전에서 토스가 왜 상성상 좋지 않은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멀티 확장이 어려움
토스는 저그보다 확장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테란, 저그, 토스 중에서 저그가 멀티 확장력이 가장 좋고 테란이 가장 안 좋습니다. 토스는 중간 정도인데 저그전에서는 멀티를 가져가기가 힘듭니다. 저그가 토스보다 상성이 좋고 물량이 많이 나와서 힘에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멀티를 가져가기 힘듭니다. 토스는 저그보다 자원이 빨리 떨어져서 후반 운영을 간다면 멀티를 많이 가져가면서 운영을 이어가야 하는데 저그를 잘하는 사람을 만나면 멀티를 쉽게 가져가지 못하게 견제가 들어와서 게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저그의 빠른 기동성
저그는 기동성이 뛰어난 종족입니다. 저글링이 발업이 되면 정말 빠른 속도로 움직여서 저글링으로 여기 저기 공격을 찍으면 막는데 정신이 없습니다. 히드라도 발업이 되면 느린 편은 아니어서 저글링과 히드라로 같이 조합을 해서 공격을 오면 여기저기 막는 것이 보통 일이 아닙니다. 그나마 지상으로만 오면 다행인데 오버로드에 유닛을 태워서 공중으로 수송해서 많은 곳에 난전을 유도하면 토스의 입장에서는 경기를 풀어가기가 정말 까다로워 집니다. 나이더스 커널 같은 저그의 유닛 이동 건물도 있어서 토스로 저그의 기동성을 능가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3. 디파일러
하이브 테크를 탄 저그가 무서운 이유 중의 하나가 디파일러 입니다. 디파일러의 다크스웜 스킬로 러커나 저글링이 피해를 덜 볼 수 있게 해서 오랫 동안 토스 유닛을 공격하게 만들어서 토스의 병력들을 갈아먹을 수 있고 플레이그로 토스의 뭉친 유닛에 뿌려서 실드만 남기게 해서 체력을 떨어뜨려 놓을 수 있습니다. 토스 유닛들이 플레이그에 맞게 되면 순간적으로 저그 유닛에 녹을 수 있으므로 플레이그를 맞지 않게 병력들을 분산시키고 디파일러를 잘 피해서 컨트롤 해야 합니다. 토스 병력이 후반에 많이 있어도 플레이그에 순간적으로 병력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하이템플러나 리버 같은 고급 유닛들을 잘 활용하고 실드 에너지가 많은 아칸을 생산 하는 것도 좋습니다
4. 러커
러커도 토스 입장에서 정말 싫은 유닛입니다. 그 이유는 우선 러커의 가시촉수가 스플래시 대미지를 입히는 형식이라 러커를 간격 좋게 버로우 해두면 러커가 있는 라인을 토스 병력 입장에서 뚫을 때 많은 피해를 입게 됩니다. 여기에 디파일러나 저글링, 히드라 같은 보조 유닛들이 있으면 토스의 입장에서 리버가 없는 이상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어서 유닛 컨트롤을 잘 하면서 스톰을 적절히 써야 합니다.
Previous Post
« Prev Post
« Prev Post
Next Post
Next Post »
Next Post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