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인용 맵 이클립스는 왜 테란이 토스 상대로 안 좋을까?

이미지
이클립스 맵에서 테프전은 프클립스라고 불릴 정도로 토스한테 유리한 맵입니다. 2인용 맵이라는 점에서 초반에 토스가 테란을 상대로 할 수 있는 카드가 많고 건물이 지어지지 않는 지형적인 특징 때문에 테란이 토스를 상대할 때 불리한 맵입니다. 토스의 여러 빌드에 대해 2인용 맵에서 보통 테란은 초반부터 견제가 신경 쓰입니다. 2인용 맵에서는 토스들이 프로브 정찰을 빨리하는 경우가 많아 가스 러시나 전진게이트를 항상 신경 써야 해서 4인용 맵이나 3인용 맵에서 무난하게 하는 배럭더블 빌드는 거의 쓸 수 없습니다. 가스를 올리지 않고 배럭더블을 하다가 상대가 전진게이트면 바로 게임이 끝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팩더블을 해야합니다. 이클립스 맵의 경우도 2인용 맵이기 때문에 팩더블로 시작을 하는데 이 맵은 토스가 초반 가스 러시를 하면서도 생더블을 막을 수 있는 거리이기 때문에 토스가 초반 빌드를 거의 먹고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정적으로 팩 더블을 성공시켜도 요즘 테프전에서 많이 나오는 6팩 타이밍을 하기에도 별로 좋지 않은데 일단 러시거리가 멀고 이동하는 길에 언덕이 있으며 터렛이 지어지지 않기 때문에 타이밍 러시도 별로 좋지 않습니다.  타이밍이 안 통하면 세 번째 멀티를 먹고 후반 운영을 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클립스 맵의 경우 세 번째 멀티로 이동하는 길목에 터렛이 안 지어지는 부분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이런 점들에 있어서도 테란한테 되게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테란이 운영을 잘해서 후반으로 끌고 갔을 때는 2인용 맵의 특성상 자원이 없어서 반땅 운영으로 가면 테란이 할만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기가 흔하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테란이 토스를 상대로 불리한 이클립스 맵에서 토스를 상대로 할만한 것이 있다면 드랍쉽 견제를 통해서 운영을 이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무난하게 가기에는 토스한테 뒤처지고 힘든 점이 있기 때문에 테란 플레이어가 토스가 따라오지 못할만한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 견제를 하면서 운영을 이어나가는 것이 괜찮은 전략이라고 할 ...

테테전 벌처 싸움을 할 때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이미지
테테전에서 벌처 싸움을 잘 하는 것이 되게 중요합니다. 벌처 싸움을 잘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주도권이 바뀔 수 있을 정도로 게임의 양상이 크게 달라집니다. 벌처 싸움을 이기는 쪽은 마인을 심고 맵의 시야를 장확하면서 게임을 유리하게 이끌어가기 때문에 컨트롤 싸움에서 이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벌처가 워낙 빠른 유닛이기 때문에 벌처끼리의 싸움은 순간적으로 일어납니다. 그래서 교전하기 전에 빠르게 반응해 줄 필요가 있는데 상대방의 벌처 점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점사를 해줌으로써 상대 벌처를 더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데 만약 벌처끼리 전투 시 1마리씩 따로 점사를 통해 제거하지 않고 그냥 A를 눌러 어택으로 교전을 하게 된다면 비슷한 숫자의 벌처로 전투를 하였다 해도 점사 컨트롤에 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일일이 컨트롤을 해서 유닛을 빠르게 제거해야 합니다. 벌처끼리의 교전 시 컨트롤을 하는 방법을 알면 벌처 싸움에서 크게 밀리지 않을 것입니다. 이제 탱크를 전환하는 타이밍을 알아야 하는데 나의 팩토리 숫자가 상대 팩토리 숫자가 같은 상황이거나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상태에서 벌처 숫자가 비슷하다면 애드온을 1개 달아서 탱크를 찍어도 됩니다. 2개의 애드온을 하지 않는 이유는 탱크를 2팩에서 동시에 뽑으면 유닛 공백이 생겨서 벌처에 순간적으로 밀리고 gg를 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탱크를 모으는 동안은 벌처를 앞마당 입구 쪽에서 수비적으로 두다가 탱크의 숫자가 이제 4~6마리 정도 쌓이게 되면 이제 진출을 해도 됩니다. 탱크가 상대보다 많다면 화력에서도 좋고 더 좋은 라인을 미리 잡을 수도 있고 여러 기의 탱크를 통해 맷집 역할을 하면서 앞으로 밀고 나갈 수 있습니다. 만약 상대가 벌처 싸움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탱크를 뽑지 않았으면 벌처, 탱크로 러시를 가면서 빠르게 경기를 따낼 수도 있습니다. 

개인 벙커 수리하기 3.2 가이드

이미지
수리하는 유즈맵들이 여럿 있는데 개인 벙커 수리하기 3.2 버전 맵도 유닛을 뽑고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벙커를 수리하는 맵으로 공략법만 알면 생각보다 클리어하기 쉬운 유즈맵입니다. 처음 시작하면 마린 1기와 150원이 주어지는데 시민을 통해 150원으로 랜덤 유닛을 먼저 뽑고 나오는 유닛을 마린과 같이 잡습니다. 이때 마린 스팀팩을 사용해 주고 상대방을 빨리 공격하다 보면 100킬을 기록하고 시민이 등장하는 데 시민을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빠르게 프로브 1마리를 뽑아 미네랄을 캐도록 합니다. 유닛을 잡고 라운드가 지나면서 돈이 모이는데 150원으로 랜덤 유닛을 뽑고 업그레이드를 하던가 타이밍에 맞게 scv를 뽑고 벙커를 수리하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하면서 프로브를 뽑다가 고급 유닛을 뽑게 되는데 1000원으로 시민을 통해 랜덤 영웅 유닛을 뽑고 공격력이 강한 유닛으로 벙커를 공격하는 적의 유닛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랜덤 유닛을 뽑다 보면 유닛이 분산될 수 있는데 저의 경우는 바이오닉 유닛이 나왔을 경우 다시 판매하면서 70%의 금액을 회수 받고 다시 랜덤 유닛을 구입했습니다. 이렇게 한 이유는 너무 많은 유닛에 업그레이드가 분산되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서 그랬습니다.  유닛을 뽑고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어느새 프로브도 8마리가 모여있고 라운드 끝까지 갈 수 있는데 마지막까지 시민을 2마리 모은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하면 됩니다. 나중에 벙커가 터질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대비해서 시민으로 벙커를 2번 회복시킬 수 있는 상황을 만든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하면 쉽게 클리어하실 수 있습니다.

투혼맵에서 토스를 견제하기 9시 멀티 드랍쉽 견제 포인트

이미지
투혼 9시 멀티는 다른 지역과 다르게 외곽 부분에 탱크를 내릴 수 있는 자리가 있습니다. 총 2마리를 내릴 수 있는데 잘만 활용하면 토스를 상대로 상당히 까다로운 견제를 성공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삼룡이 멀티와 다르게 9시 멀티의 경우 외곽에 탱크가 내릴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서는 탱크 1마리와 벌처 2마리를 드랍쉽에 태우고 견제를 하고 있는 모습인데 상황에 따라서는 탱크 2마리를 데리고 와서 견제를 할 수도 있습니다. 탱크 2마리로 멀티 외곽에서 견제할 경우 이미지에 보이는 탱크 우측에 공룡 뼈로 보이는 부분 오른쪽에 탱크를 내리면 됩니다.  이번 게임에서는 드랍쉽에 1탱크, 2벌처를 태워서 견제를 했는데 1탱크로 언덕 밑에서 사격을 지원해 주고 2벌처로 마인을 6기 까는데 토스의 수비가 잘 안되어 있을 경우 상당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드라군이 오기 전 마인을 최대한 심어주고 일꾼을 점사해주면 일정 시간 동안 멀티를 마비시킬 수 있을 정도로 투혼 맵에서 9시 멀티는 드랍쉽을 통해서 견제하기에 좋은 위치입니다.  견제를 할 때 벌처의 숫자가 여유가 될 경우에는 드랍쉽 견제를 갔던 9시 쪽으로 벌처를 더 많이 보내도 됩니다. 드라군이 9시로 수비하러 오는 동선에 마인을 심어서 시간을 끌어줄 수도 있고 멀티에서 이동하는 프로브를 벌처를 통해서 잡아줄 수도 있습니다. 벌처 견제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이 중요한데 스캔을 통해서 토스의 병력의 위치에 알맞게 효율적으로 빈틈을 찾아들어서 벌처로 파고들면 됩니다.

스타 종족별 특징 기동성이 좋고 물량이 쏟아져 나오는 종족 저그

이미지
저그 빠른 기동성과 많은 물량을 뽑아낼 수 있는 종족입니다. 대부분의 유닛들이 빠르고 라바에서 유닛이 나온다는 특징이 있는데 저그 종족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저그 종족은 저글링을 통해 초반부터 주도권을 쥘 수 있는 종족 입니다. 4드론이나 9드론 같은 빌드로 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는 공격적인 종족으로 테란, 토스와는 다르게 모든 유닛이 해처리에서 생산됩니다. 이런 저그의 특징은 초반에는 일꾼을 같이 생산해야 해서 불리할 수 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게임이 길어질수록 해처리의 수는 많아지게 되면서 모든 해처리에서 라바를 통해 유닛을 생산하게 되어 물량이 쏟아집니다. 테란과 토스의 경우는 건물에서 유닛을 1기씩 생산할 수 있는 것에 달리 저그의 경우 해처리에서 라바를 3개까지 모을 수 있고 동시에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물량과 회전력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종족입니다.  저그는 기동성 측면에서도 타 종족에 비해서 좋기 때문에 유닛이 되게 빠릅니다. 저글링 같은 유닛도 빠르지만 공중 유닛 뮤탈리스크의 경우도 기동성이 좋으면서 효율이 좋습니다. 타 종족 입장에서 뮤탈을 상대하는 것이 정말 까다로운 이유 중 하나는 공중 유닛이기 때문에 게임을 할 때 공중 유닛을 공격하는 유닛을 뽑게되면서 화력이 분산됩니다. 저그는 이런 점을 잘 이용해서 지상과 공중의 적절한 유닛 조화 를 이루고 테란과 토스를 상대할 수 있습니다. 저그는 테크를 타면 되게 강해지는데 하이브 테크가 됐을 때 보통 멀티도 있고 해처리가 많은 상태라 물량을 많이 찍어내서 난전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속도가 빠른 저그의 유닛으로 여기저기 공격하면서 오버러드의 드랍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같이 공격을 하게 되면  테란과 토스는 저그의 스피드를 따라가기 힘들어집니다. 이럴수록 저그의 기동성과 물량을 잘 활용해서 계속 몰아붙이면 됩니다. 한 번에 무너지지 않더라도 여러 번 폭풍처럼 계속해서 유닛을 쏟아부으면서 적의 빈틈을 뚫을 수 있는 날카로운...

스타 종족별 특징 유닛의 체력이 높고 마법 스킬이 좋은 종족 프로토스

이미지
공방에서 게임을 할 때나 래더를 할 때 가장 많이 매칭이 되는 종족이 프로토스입니다. 프로토스는 유닛의 실드가 있고 체력이 높은 편이라 컨트롤을 하기가 쉬워 손이 빠르지 않아도 저그, 테란과 대등하게 경기를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간편한 토스의 특성은 스타를 처음 시작하는 많은 유저들한테 토스 종족을 선택하게 만들었습니다. 토스는 초반부터 유닛이 되게 강합니다. 질럿 1마리가 마린과 저글링 여러 기와 대등하게 싸울 수 있을 정도로 소수 유닛 대결에서는 가장 강력한 종족입니다. 자원 수급도 타 종족에 비해 빨라서 빌드 타이밍에 있어서도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물을 지을 때 scv가 계속 붙는 테란과 기지를 건설할 때마다 드론이 없어지는 저그와 달리 프로브는 건물을 소환만 하고 다시 자원을 캐러갈 수 있습니다.  자원을 빨리 캐서 빌드가 빠르다는 장점으로 게임을 앞서나가고 유닛을 많이 뽑을 수 있는 데다가 마법 스킬이 가장 좋은 종족입니다. 하이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의 경우 뭉쳐있는 유닛들한테 한번에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마법으로 스타에서 가장 좋은 마법으로 손꼽히기도 합니다. 하이템플러 같은 마법 유닛 외에도 아비터가 있는데 테란한테 아비터는 되게 까다로운 유닛입니다. 토스로 아비터의 리콜과 스테이시스 필드를 잘만 활용하면 불리한 경기도 역전될 수 있을 정도로 토스는 마법 스킬이 가장 좋은 종족입니다. 토스 또 다른 장점으로 멀티를 방어하기 가장 좋을 수 있는데 포토 캐논이 지상과 공중 둘 다 공격이 됩니다. 멀티에 캐논만 여러 기 지어놔도 상대방의 유닛을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의 유닛이 도착할 때까지 수비할 수 있습니다. 토스는 이렇듯  손이 타 종족에 비해 덜 가고 멀티를 방어하기 쉽고 물량을 많이 찍으며 좋은 마법 스킬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서 현재 스타에서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고르고 있는 종족입니다. 만약 스타를 하면서 힘으로 상대방을 찍어누르는 경기의 스타일 을 해보고 싶다면 프로토스 종족을 추천해 드립니다. ...

스타 종족별 특징 유닛의 화력이 가장 강한 종족 테란

이미지
테란은 테사기라고 불리는 단어가 따로 있을 정도로 유닛의 강력한 화력 을 자랑합니다. 저그, 토스보다 적은 멀티를 먹고 있음에도 한방 진출로 게임이 역전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테란 유닛의 화력이 뛰어나서 그렇습니다. 테란 종족은 멀티는 타 종족에 비해서 먹기 힘든 종족이지만 이런 단점을 없앨 정도로 유닛이 강력합니다. 테란의 유닛은 주로 원거리 유닛 이기 때문에 모이면 모일수록 강해집니다. 소수 병력만 있을 때는 약할 수 있지만 쌓이면 강해지기 때문에 한방 타이밍의 파워가 가장 강합니다. 이런 한방 테란의 타이밍 러시를 막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테란보다 발전 속도가 더 빠른 저그와 토스는 테란을 상대할 때 병력을 잘 끊어주어야 합니다. 견제를 통해 테란이 성장하는 것을 방해해야 하는데 만약 그렇지 못하고 가만히 내버려 둘 경우 테란이 덩어리 병력으로 나올 때 그 무게감은 상당할 것입니다. 테란은 이렇게 유닛의 화력이 강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그에 반해 단점도 있습니다. 건물을 지을 때 scv가 끝까지 지어야 해서 자원 수급이 적을 수밖에 없고 유닛의 업그레이드가 되기 전까지는 취약합니다.  마린이 스팀팩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거나 벌처가 속업, 마인 업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초반에 쉽게 털리기 좋은 종족입니다. 이럴 때 테란의 세부적인 컨트롤이 요구되는데 숙련되지 않은 유저들 입장에서는 저그와 토스의 초반 러시를 막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방어타워가 저그나 토스에 비해서 부실한 편인데 벙커의 경우 마린을 넣어야 하고 터렛은 대공만 공격되기 때문에 성큰, 스포어, 캐논이 있는 저그와 토스에 비해서 멀티를 방어하면서 시간을 끌기에는 많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멀티력에 있어서는 테란이 가장 좋지 않은 종족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도 이런 단점들을 상쇄시킬 수 있을 만큼 업그레이드가 잘 된 테란의 유닛 화력은 너무 좋기 때문에 테란 종족을 선택하는 것 같습니다. 여러 번 견제를 받고 불리한 상황이더라도 유...

스타 리마스터 유저라면 알고 있어야 하는 용어 gg, gl

이미지
스타크래프트를 하다 보면 gg와 gl을 유저들이 채팅창에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밀리나 팀플 게임의 경우 사람들이 게임 시작 전과 끝나기 전에 gg를 치는 경우가 많은데 gg와 gl이 무슨 의미인지 자세히 같이 보겠습니다. 스타를 하면서 gg와 gl을 채팅치고 메시지 기록에 보이는 모습입니다. 이 채팅 내용은 제가 래더에서 상대방한테 먼저 쳤더니 상대방도 매너상 저한테 똑같이 받아준 모습입니다.  게임을 하기 전 방 대기실에서 gg와 gl을 치는 경우가 있는데 gg는 good game 의 약자이고 gl은 good luck 의 약자로 이렇게 채팅을 치는 경우 좋은 게임이나 행운을 바란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gl의 경우 게임을 시작하기 전 채팅을 치는 사람이 상대방한테 경기가 조금 더 잘 풀리라고 응원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데 스타라는 게임 내에서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찰이나 빌드, 전술, 전략 이런 것들이 위치와 타이밍에 맞게 상대방한테 행운을 바란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gg의 경우는 온, 오프라인 게이머들 간의 대결에서 패배한 상대방이 게임을 나가기 전에 gg를 치고 나가는 것이 일종의 상대방에 대한 매너이자 경기의 룰인데 gg를 침으로써 좋은 게임이었다는 메시지를 상대방한테 전달하면서 동시에 게임에 대한 패배를 인정한다는 의미로 많이 사용됩니다. 공식적인 경기에서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실수가 아닌 이상 거의 gg를 치고 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공방이나 래더같이 비공식적인 경기에서는 유저들끼리 조용히 채팅 없이 게임하거나 게임을 나갈 때 gg를 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것은 게이머가 매너가 없기보다는 채팅을 치기 귀찮거나 게이머 성향상 조용한 스타일 일수 있으니 gg를 치지 않는 상대가 있더라도 매너가 없는 게이머라고 생각하기보다는 가볍게 넘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