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에서 가장 빠른 유닛이자 테란 최고의 가성비 유닛 벌처

이미지
테란의 벌처는 가격이 75원으로 체력이 80 공격이 20인 메카닉 유닛이다. 이 유닛은 스타크래프트 내에서 최고의 가성비를 자랑하는 유닛으로 이동 스피드도 빠르고 효율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유닛이라고 볼 수 있다. 미네랄 75원으로 이 정도의 효율을 내는 유닛은 벌처밖에 없을 정도로 아주 뛰어난 유닛이다. 이런 벌처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기동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빠른 스피드를 활용해서 상대방을 정신없게 만들어줄 수 있는 견제에 특화된 유닛이다. 벌처는 저글링보다 빠른 스피드를 통해 상대의 시선을 끌 수 있고 견제를 통해 시간을 벌 수 있고 그동안 테란이 다른 것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게임이 불리한 상황에서도 벌처로 인해 역전을 가능하게 만들어줄 수 있을 정도로 메카닉 유닛에서 벌처의 활용도는 상당히 높다. 어떻게 보면 메카닉 운영은 탱크를 잘 쌓는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두고 계속 생산되는 벌처의 움직임에 따라서 게임의 양상이 많이 바뀐다고 볼 수 있는데 그만큼 벌처의 움직임은 메카닉 운영을 하는 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다. 테란 유저가 게임 내에서 벌처를 부지런하게 움직여서 상대의 유닛이 이동할 만한 지점에 마인을 3개씩 깔면 한 번씩 마인 대박이 터지는 경우가 있다. 마인의 체력이 20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대미지가 125이기 때문에 상대방이 한 번만 밟기만 해도 유닛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 마인의 경우 스플래시 대미지이기 때문에 뭉쳐있는 유닛한테 터지게 될 경우 그 효과는 배가된다고 보면 된다. 이제 게임에서 벌처를 활용하는 상황을 살펴볼 것인데 벌처는 보통 지상에서 빠르게 움직여서 빈틈을 찾고 견제를 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 드랍쉽을 통해서도 견제를 한다. 드랍쉽을 통해서 이동하게 되면 아무래도 상대 입장에서는 지상보다 더 많은 경로를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빈틈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테란이 scv나 스캔을 통해서 정찰을 잘하고 상대의 빈틈을 잘 파고들면 드랍쉽을 태운 벌처로 상당한 견제 이득을 보는 경우도 많...

조용히 숨는 암살자 테란의 스페셜 유닛 고스트

이미지
고스트는 테란의 마법 유닛 중 하나로 배럭에서 생산할 수 있는 유닛이다. 아카데미를 짓고 사이언스 퍼실리티에서 코버트 옵스를 연결하게 되면 배럭에서 미네랄 25 가스 75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데 바이오닉 유닛 중에서는 가스가 제일 많이 드는 유닛이다. 고스트는 일반적인 전투 유닛과는 다르게 한번에 많이 생산하기 보다는 한마리씩 뽑아 전술적으로 사용하는 유닛이다. 배럭에서 같이 생산되는 마린, 메딕, 파뱃처럼 한번에 많이 뽑지 않으며 특별히 필요할 때만 따로 생산해서 뽑는 유닛이다. 이런 고스트는 특별하게 클로킹과 락다운 스킬을 가지고 있고 핵을 날릴 수 있어서 고스트의 기능을 잘만 활용하면 게임 내에서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이제 고스트의 스킬들을 살펴볼 것인데 클로킹의 경우 고스트가 이 스킬을 활용하면 투명하게 되어서 상대방이 디텍팅하는 기능이 없을 경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클로킹 고스트의 은폐 능력으로 인해 상대는 혼란에 빠질 수 있고 심하면 핵을 맞고 멘탈이 털리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기도 한다. 두 번째 스킬인 락다운의 경우 모든 유닛에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기계 유닛한테 주로 통하기 때문에 타이밍에 맞게 잘만 사용하면 락다운을 통해서 유닛을 일정 시간 멈추게 하고 무력화시킬 수 있다. 핵은 고스트의 핵심 스킬이라고 볼 수 있는데 커맨드센터에서 뉴클리어 사일로를 연결해서 핵을 개발하면 고스트가 핵을 사용할 수 있다. 고스트가 클로킹을 한 후 몰래 핵을 쏠 지점으로 들어가서 성공적으로 핵을 날리게 되면 상대의 건물과 유닛들을 한 번에 크게 대미지를 줄 수 있고 심리적으로 위축시키게 만들어줄 수 있다. 고스트의 스펙을 봤을 때는 체력 45 방어력 0 대미지가 10밖에 되지 않아서 전투 중에는 많이 약할 수 있는 유닛이지만 전술적으로 잘 활용해서 핵을 쏘게 되면 생각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테란의 유닛이다. 마린, 메딕, 파뱃 같은 유닛만 이용하기 보다 한 번씩 고스트도 섞어서 바이오닉 운영을 한다면 다양한 전술 운영을 이어나가...

전장에 있어야 하는 힐러 테란의 메딕

이미지
테란의 메딕은 스타크래프트 부르드워에서 새롭게 추가된 유닛이다. 오리지널 버전에서는 없었던 유닛이 확장판에서 새롭게 추가되면서 바이오닉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게 만들어준 유닛이다. 어떻게 보면 테란의 바이오닉은 메딕이 생기기 전과 생기기 후로 나뉘었다고 볼 수 있다. 메딕은 체력이 60에 방어력이 1까지 있어서 전투 중에 생각보다 잘 버티는 유닛으로 마린 곁에 항상 있어야 하는 유닛이다. 오리지널 버전에서 테란은 마린으로만 저그를 상대해야 했고 전투 중 스팀팩을 써야 하는 마린 유닛의 특성상 메딕이 없는 상태에서 체력이 10 깎일 경우 거의 녹아버리게 되었다. 러커가 없어도 저글링과 히드라한테도 상당히 버거워서 테란이 저그를 상대로 상성상 앞선다고 보기 힘들 정도였다. 그런데 부르드워 버전에서 메딕이 추가되면서 큰 변화가 생기게 되었는데 메딕의 등장으로 인해서 마린이 체력을 닳아도 금방 회복하게 되었고 이는 바이오닉의 효율성을 크게 만들어주었다. 저그전에서 마린, 메딕 조합이 주를 이루게 되면서 1부대 정도의 규모로도 저그한테 많은 압박이 되었고 이것은 초반부터 저그가 잠시라도 여유를 가질 수 없게 만들어 주었다. 마린이 전투 중 에너지가 좀 닳아도 메딕의 힐 기능으로 인해 금방 체력을 회복하였고 이것은 저그한테 있어서 바이오닉이 상당히 강력하게 보이기도 했다. 메딕의 힐 기능은 마린뿐만 아니라 scv, 파이어뱃, 고스트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마린이 아니어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는 유닛이다. 따로 컨트롤을 하지 않아도 메딕 주변에 생체 유닛 중 체력이 닳은 유닛이 있으면 메딕이 움직이고 알아서 치료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는데 이런 점은 scv가 기계 유닛을 직접 클릭해서 수리를 하는 것에 비하면 상당히 편하다고 볼 수 있다. 메딕은 간단히 치료를 하는 것 외에 또 다른 능력으로 스킬을 갖추고 있는데 크게 두 가지 스킬을 가지고 있다. 바로 리스토레이션과 옵티컬 플레어이다. 먼저 리스토레이션의 경우 경기에서 크게 많...

화염으로 지배하는 테란의 근접 유닛 파이어뱃

이미지
테란의 근접 공격 유닛 중 가장 임팩트가 있는 유닛을 하나 꼽자면 배럭에서 생산되는 파이어뱃일 것이다. 가까이 있을 때 화염방사기를 통해 적의 유닛을 공격하는 모습은 임팩트가 있으면서 동시에 강력한 대미지를 전달한다. 이 유닛이 특별한 점이 있다면 근접 유닛이지만 스플래시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적의 유닛들이 파이어뱃에 접근하게 되면 파이어뱃의 공격 효율이 훨씬 더 높아지는 장점이 생기게 된다. 파뱃은 마린과는 다르게 근접 공격 유닛이어서 저글링과 질럿 같은 근접 유닛에는 비교적 강하다. 언덕 같은 곳에 메딕이랑 파이어뱃을 같이 홀드 시켜놓으면 아무리 많은 수의 저글링과 질럿이 와도 뚫리지 않을 정도로 근접 유닛한테 있어서는 상성상 되게 강력한 모습을 많이 보이는 유닛이다. 파뱃은 보통 토스전보다 저그전에 많이 사용되는데 저그의 본진으로 드랍쉽 견제를 갈 때 상대가 저글링을 통해 방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파이어뱃을 드랍쉽에 섞어주는 것도 굉장히 좋은 선택이다. 파뱃의 경우 체력이 50이고 기본 방어가 1이고 공격력이 16이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드랍을 하기만 하면 업그레이드가 된 저글링이 와도 파뱃으로 커버칠 수 있다. 드랍 후에 파뱃으로 저글링을 막게 되면 이후 테란의 견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파뱃으로 미네랄 주변에 있는 일꾼을 녹일 수도 있고 건물도 마린과 같이 파괴시킬 수 있다. 저그 유저의 입장에서 파뱃과 마린, 메딕 조합에 본진이 무방비로 당하는 것을 직접 보게 되면 경기를 하면서 심리적인 압박을 받을 수 있다. 단순히 공격당하는 느낌보다도 무언가 무너지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게임을 운영하면서 생각보다 잘 풀리지 않게 되고 이후 경기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파이어뱃은 많이 뽑지는 않지만 다른 유닛과 조화를 잘 이룬 상태에서 적절히 섞어주면 유닛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심리적으로도 게임을 하는 상대한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독으로 쓸 때는 별로 위협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마린, 메딕과 같이 있는 상태에서...

스타크래프트 테란의 기본 유닛 마린

이미지
테란의 유닛 마린은 배럭에서 미네랄 50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본 유닛으로 사거리 유닛인 만큼 초반부터 멀리서 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린은 체력이 40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원거리 유닛인 만큼 모이면 모일수록 더 강해진다.  마린은 초반부터 생산할 수 있는 유닛이라 테테전, 테프전, 테저전에서 모두 생산하지만 주로 저그전에 많이 사용한다. 테테전에서는 배럭더블을 할 때 벙커에 마린을 넣어서 수비하거나 아니면 팩더블 시 마린으로 scv의 정찰을 막고 상대의 배럭 정찰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토스전에서는 테테전처럼 배럭 더블을 할 때 마린을 생산하거나 아니면 팩더블을 할 때 초반 상대 토스의 질럿과 드라군을 막을 때 사용하고 FD러시를 갈 때 마린을 이용한다. 간혹가다 토스전에서 바이오닉 운영을 할 때 마린, 메딕을 많이 뽑긴 하지만 요즘 테프전 메타에서는 리버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토스전 바이오닉 운영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반면 저그전에서는 바이오닉 운영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마린을 많이 생산한다. 마린은 50원밖에 하지 않고 스팀팩 업그레이드가 되면 효율이 굉장히 좋아지기 때문에 값싼 유닛으로 저그를 상대하기에 좋은 유닛이다. 체력이 조금 닳아도 마린 주변에 메딕이 몇 기씩 섞여있으면 체력도 금방 회복할 수 있고 빠른 공격 속도로 저그의 유닛을 녹여버릴 수 있다. 컨트롤만 잘하면 저그의 유닛들을 순간적으로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마린은 저그전에 있어서 굉장히 고효율 유닛 중 하나이다. 단지 마린은 체력이 40밖에 하지 않기 때문에 러커 같은 유닛이나 토스의 사이오닉 스톰, 리버의 스캐럽에 순간적으로 여러 마리가 녹을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컨트롤이 요구된다. 마린 컨트롤이 좋을 경우 초반부터 빌드를 좀 더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다. 토스전에서 인구수 11때 맞추어서 전진 배럭을 통해 생더블을 저격할 수 있고 저그전에서는 BBS를 하거나 저그한테 8배럭을 하는 플레이를 통해서 상대의 12앞 해처리를 견제할 수 있다. 빌드가 통했을...

스타크래프트 테란의 핵심 유닛 scv

이미지
스타크래프트 테란의 일꾼 scv는 저그나 토스의 일꾼보다 더 많은 역할을 한다. scv는 기본적으로 다른 종족의 일꾼과 동일하게 자원을 채취할 수 있지만 건물을 짓거나 유닛과 건물을 수리할 수 있고 중요한 타이밍에 몸빵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꾼의 효율성이 훨씬 큰 유닛이다. 다른 종족의 일꾼과 같은 가격 50원이어도 scv는 확실히 가성비가 좋다고 볼 수 있고 테란 입장에선 거의 만능이라고 볼 수 있는 유닛이다. 메카닉 유닛의 에너지가 닳아도 scv로 리페어를 통해서 다시 새 유닛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기계 유닛한테 있어서 바이오닉의 메딕이라고 볼 수도 있다. scv는 유닛뿐 아니라 건물을 수리할 때도 좋은데 테저전에서 테란이 벙커나 터렛을 지어서 저그의 공격을 수비할 때 scv는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종족 같은 경우는 방어타워가 공격받으면 무방비로 내버려두는데 테란의 경우는 빠르게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밍만 잘 맞게 수리하면 상대의 공격을 막기 힘든 상황에서도 무난히 막아낼 수 있다. scv는 이렇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상대한테 타이밍 러시를 갈 때도 같이 이동하기도 한다. 테프전에서 초반 fd 러시를 갈 때 일꾼을 앞에 세워 몸빵 역할을 하거나 요즘 자주 나오는 6팩 타이밍 러시에서도 scv를 2~3마리 정도 끌고 가서 메카닉 유닛 주변에 서플이나 터렛을 지어서 전투 효율을 더 높게 만들어주고 상대를 까다롭게 느끼게 해준다. 이렇듯 scv는 사실 활용 능력이 굉장히 뛰어난 유닛이다. 일꾼이지만 체력이 60이고 필요한 상황에서 정찰을 하거나 몸빵을 하는 것에 적합하니 초반부터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테란의 유닛 scv를 여러 상황에서 잘 이용해 보도록 하자

테저전 후반 운영에서 지우개가 필요한 이유는?

이미지
테저전 경기를 보면 여러 전술들이 나오는데 후반으로 갈수록 베슬의 이레디에이트가 많이 활용됩니다. 저그의 가스 유닛인 러커, 뮤탈, 디파일러, 울트라를 제거하기 위해 이레디에이트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베슬끼리 서로 이레디에이트를 걸고 드론 주위에 움직이는 지우개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베슬 2마리에 이레디에이트를 걸고 패트롤을 시키면 자동으로 이동하는데 저그가 정면에 신경쓰고 있으면 순간적으로 이레디에이트가 드론을 녹일 수 있습니다. 드랍쉽 견제로도 드론을 털수도 있지만 순간적으로 타이밍이 어긋났을 때는 베슬의 이레디에이트로 빠르게 저그의 자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저그 멀티가 3개정도인 시점에서 지우개를 당하게 되면 자원 수급이 떨어지기 때문에 울트라 같이 가스가 많이 드는 고급유닛을 많이 뽑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테란의 경우 앞마당만 먹고도 충분히 3가스 저그를 상대하게되면서 정면 힘싸움에서도 밀리지 않을수 있습니다. 마린, 메딕, 탱크 조합을 베슬과 같이 합하면서 저그의 정면을 압박하고 베슬 중 마나가 남는 것 2기를 빼서 스커지가 없는 저그 멀티 지역에 이레디에이트를 걸면 난전을 유도하면서 다른 곳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고 좀 더 쉽게 드랍쉽으로 저그의 멀티나 본진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저그는 정말 여러 군데를 방어해야 서 운영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후반 운영 시 베슬을 계속 쌓을 수 있고 마법 유닛의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마나가 속 차기 때문에 관리만 잘해주면 이레디에이트를 계속 써줄 수 있습니다. 스커지를 조심하거나 디파일러의 플레이그를 피하면서 잘 컨트롤해서 살려주면 이레디에이트를 활용해 지속적으로 저그의 가스 유닛을 제거하거나 지우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테란의 지우개 전술은 저그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끊을 수 있는 전략으로 울트라가 뜨는 타이밍을 늦줄 수 있고 저그를 정신없게 만들어서 순간적으로 자원 수급을 빠르게 마비시킬 수 있는 전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2인용 맵 이클립스는 왜 테란이 토스 상대로 안 좋을까?

이미지
이클립스 맵에서 테프전은 프클립스라고 불릴 정도로 토스한테 유리한 맵입니다. 2인용 맵이라는 점에서 초반에 토스가 테란을 상대로 할 수 있는 카드가 많고 건물이 지어지지 않는 지형적인 특징 때문에 테란이 토스를 상대할 때 불리한 맵입니다. 토스의 여러 빌드에 대해 2인용 맵에서 보통 테란은 초반부터 견제가 신경 쓰입니다. 2인용 맵에서는 토스들이 프로브 정찰을 빨리하는 경우가 많아 가스 러시나 전진게이트를 항상 신경 써야 해서 4인용 맵이나 3인용 맵에서 무난하게 하는 배럭더블 빌드는 거의 쓸 수 없습니다. 가스를 올리지 않고 배럭더블을 하다가 상대가 전진게이트면 바로 게임이 끝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팩더블을 해야합니다. 이클립스 맵의 경우도 2인용 맵이기 때문에 팩더블로 시작을 하는데 이 맵은 토스가 초반 가스 러시를 하면서도 생더블을 막을 수 있는 거리이기 때문에 토스가 초반 빌드를 거의 먹고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정적으로 팩 더블을 성공시켜도 요즘 테프전에서 많이 나오는 6팩 타이밍을 하기에도 별로 좋지 않은데 일단 러시거리가 멀고 이동하는 길에 언덕이 있으며 터렛이 지어지지 않기 때문에 타이밍 러시도 별로 좋지 않습니다.  타이밍이 안 통하면 세 번째 멀티를 먹고 후반 운영을 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클립스 맵의 경우 세 번째 멀티로 이동하는 길목에 터렛이 안 지어지는 부분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이런 점들에 있어서도 테란한테 되게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테란이 운영을 잘해서 후반으로 끌고 갔을 때는 2인용 맵의 특성상 자원이 없어서 반땅 운영으로 가면 테란이 할만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기가 흔하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테란이 토스를 상대로 불리한 이클립스 맵에서 토스를 상대로 할만한 것이 있다면 드랍쉽 견제를 통해서 운영을 이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무난하게 가기에는 토스한테 뒤처지고 힘든 점이 있기 때문에 테란 플레이어가 토스가 따라오지 못할만한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 견제를 하면서 운영을 이어나가는 것이 괜찮은 전략이라고 할 ...